[그래픽뉴스] 청년도약계좌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세운 한 청년 금융 정책에 젊은층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청년 1억 통장'이라고도 불리는 를 오늘의 그래픽 뉴스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청년도약계좌는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만 19~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저축계좌인데요.<br /><br />매달 70만 원 한도 내에서 일정액을 저축하면 연 3.5% 복리에 월 최대 40만 원의 40만 원의 정부 지원금이 더해져 10년 뒤 1억 원의 자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청년도약계좌는 최근 청년층의 신청이 쇄도했던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성격이지만 가입 범위가 훨씬 넓습니다.<br /><br />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천6백만 원 이하로 가입 대상을 제한했지만, 청년도약계좌는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10년간 정부 지원 혜택으로 청년층의 중장기 자산 형성이 가능하다는 점인데요.<br /><br />소득구간별 정부 지원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연 소득 2천4백만 원 이하인 경우 월 최대 40만 원, 연 소득 3천6백만 원 이하엔 월 최대 20만 원, 연 소득 4천8백만 원 이하엔 월 최대 10만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습니다.<br /><br />연 소득이 4천8백만 원을 넘으면 정부 재정 지원 없이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만약 가입 기간에 소득이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다른 구간의 혜택이 적용되고요.<br /><br />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거나 장기간 실직·휴직하는 경우, 재해를 당한 경우 등은 중도 인출과 재가입이 허용됩니다.<br /><br />이처럼 장점이 많은 정책이지만,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선 풀어야 할 숙제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가장 큰 문제는 예산입니다.<br /><br />만 20~34세 취업자가 지난해 7월 기준으로 약 630만 명에 이르는데, 이들이 모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고 월 10만 원의 지원금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1년에 최소 7조560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정부가 매년 예산 지원을 지속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또 일각에선 "중장년을 위한 상품은 없다"라는 불만이 나오는 등 세대 간 형평성 논란이 가열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당초 정부가 예상했던 수요의 7.6배에 달하는 290만 명이 신청하면서 은행권의 부담이 가중됐다는 비판도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청년도약계좌가 실현 가능한 '금융 공약'이 되려면 정확한 수요 예측과 재원 준비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